DailyLog 12
항해플러스 6기 학습메이트 회고라 쓰고 A-Z 기록이라고 부른다
벌써 항해플러스 프론트엔드 6기가 끝난지 한달이 되어가네요학습메이트를 처음 시작할 때 기대했던 점과 수료하고 나서의 느낀점들을 쭉 기록처럼 작성해보았습니다.처음 5기때 학습메이트 신청할때는 못 해도 Go 라는 마음으로 학습메이트를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막상 신청해보니 경쟁자가 너무 쟁쟁해서 역시 신청만 한번 해본거지~ 하는 마음으로 있었는데, 6기 학습메이트가 되었습니다! 왜 ? 내가 됐지? 배지 색상도 블랙도 레드도 아닌걸?!이런 의문을 가지던 중 당시 혜민맴이 해주셨던 말 덕분에 조금 자신감있게 학습메이트로 시작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채영님은 채영님만이 할 수 있는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잘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잘 할 수 있을거에요 그렇게 시작된 학습메이트.. 학습메이트를 처음 ..
DailyLog | 2025. 10. 11. 23:54
손가락 까딱 몇번으로 AI한테 내 PR 코드리뷰받기
Google이 Gemini라는 AI를 풀어준지 벌써 몇달이 지나고,,, 마침 이전 프로젝트 리팩토링하면서 AI한테 올리는 PR마다 코드리뷰를 받아보면 어떨까하는 생각이들어 간단한 세팅 방법을 가져와보았습니다.Gemini Code Assist한테 내 PR 코드리뷰 받기최우선으로 고려한 점은 무료인가였고 내가 코드단위로 코드리뷰를 받아볼 수 있는가 였습니다. 리팩토링 방향성이 뚜렸하게 정해져 있다면 n8n을 사용하여 Gemini와 같은 무료 AI와 연동하여 코드리뷰 봇을 만들 수 있지만, 현재는 리팩토링 방향성이 뚜렸하게 잡혀있지 않기도 하고(= 단순 관심사 분리만 방향성을 잡은 상황) 애초에 코드리뷰 세팅하는데에 시간을 오래 쓰고 싶지않아 이 방법을 선택하였습니다. 먼저 해당 페이지에 접속하여 우측에 보이..
DailyLog | 2025. 10. 6. 18:13
WIL 1주차 : 바닐라 JS 마스터의 길
첫 주차 항해를 마무리하면서 작성하는 회고첫 주차 과제는 바닐라 JS로 SPA 만들기를 하였다. 늘 프로젝트를 하면서 기술부채에 대해 문득문득 떠올렸던 나이기에 이번 과제에서 예상대로 학습부채의 쓴 맛을 보았다. 리액트에서는 이벤트 등록 시점을 신경 쓸 필요가 없어서 이벤트 등록 시점에 대한 고민을 크게 하지 않았다. 이번에 ReferenceError를 겪으면서 너무나 기초적이지만 나는 몰랐던 이벤트 등록 시점에 대해 다시 학습하게 되었다. 늘 기초가 튼튼한 개발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이번 1주 차를 겪고 항해를 통해 기초가 튼튼한 개발자가 되는 것에 몇 발자국 더 다가갈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부지런히 1주 차 과제를 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과제를 하는 시간에는 집중을 잘 못했던 ..
DailyLog | 2025. 3. 31. 00:26
나만 0이구 다들 3~4년차야
방법론 스터디 첫 모임을 가졌습니다. 다 함께 모인 첫날이라 서로에 대해 알아가기 위해 간단한 이력 소개와 소속 도메인, 사용 기술 스택에 대해 소개 나누었습니다. 다들 최소 2년차부터 4년 차까지 모두 개발 현업 경험이 있는 팀원들이었습니다. 현업에 있는 사람들과 스터디를 하는 건 두 번째인데, 같은 기술 스택을 학습하는 사람들과 모인 것은 처음이라 앞으로의 스터디가 기대되었습니다. 한편으로는 혼자 현업 경험이 없는 만큼 다른 때보다 더 열심히 스터디 발표 자료를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규 과정이 들어가기 전에 모인 사전 스터디라 스터디를 이끌 팀장이 필요하였습니다. 팀장이 부담이 될 수 있는 자리라 누가 하자고 쉽게 권하지는 못하였습니다. 그렇게 어쩌다 보니 팀장이 되었습니다. 잠깐의 O..
DailyLog | 2025. 2. 10. 01:50
명절 후 폭풍
클럽 99 Next.js 스터디 4주차 현황( ...이라하고 트러블 모음집이라고 부르기 ) 명절 기간에 많이 뒤쳐진 것 같아서 따라잡으려고 달렸는데, 다들 비슷했나보다. 인원이 작기도 한데, 지금 진도율에 1등이라니이 확실히 상태관리 내용이 나오니앞 주차보다 진도가 뎌디다. 4주차 강의는 바로 이해가 안되어서 여러번 돌려보았다. 이번 스터디 강사님은 설명할 때 같은 개념을 다른 말로 여러 번 끊어서 말하는 스타일인데 처음에는 귀에 쏙쏙 들어온다는 생각했는데, 뒤로 갈 수록 오히려 흐름도 같이 끊기는 느낌이었다 ㅠㅠ 4주차 강의 중 Zustand 로 next에서 상태관리하는 법 강의 듣고 있다. 넥스트에서 서버 컴포넌트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를 구분하는 방식이 너무 좋아보였다. 유지관리하기 훨씬 깔끔해진..
DailyLog | 2025. 2. 7. 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