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 복잡도 먼저 이해하기문제를 해결하는 데 걸리는 시간, 입력된 데이터를 함수로 표현해 데이터를 다루는데 걸리는 시간을 정량화해 나타낸 것을 시간 복잡도라고 한다. 어떤 목적을 달성하거나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거쳐야하는 과정을 알고리즘이라고 하는데, 이때 다양한 알고리즘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시간복잡도가 낮은 것을 선택해야한다.☑️ 배열에서의 시간 복잡도배열은 임의 접근이라는 방법으로 배열의 모든 위치에 있는 데이터에 단 한 번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시간 복잡도는 O(1)이다. 맨 뒤에 데이터를 추가할 경우, arr = [1, 2, 3] -> arr = [1, 2, 3, 4] 형태로 추가한다 했을 때 arr[3]에 다른 데이터 위치에 영향을 주지않고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