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Frontend 45
[SQL] NULL 데이터 처리(ISNULL, NULLIF, NVL, COALESCE)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운영할 때, 모든 데이터가 항상 값으로 채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회원 테이블에서 사용자의 주소나 전화번호가 아직 입력되지 않은 경우, 해당 필드는 NULL 값으로 저장됩니다. 이처럼 NULL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데이터의 누락이나 아직 입력되지 않은 상태를 표현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SQL 자격증을 준비하는 여러분에게 NULL의 특성과 이를 적절하게 처리하는 방법은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1. NULL 특징NULL은 값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는 0이나 빈 문자열과는 다릅니다.연산 시 주의점 - NULL과의 연산은 결과가 NULL이 될 가능성이 크므로, 이를 처리하지 않으면 의도치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2. NULL 데이터 처리 ..
Web Frontend/Database | 2025. 3. 5. 12:52
Node.js로 입력값 출력하기 ( fs, readline 언제 사용할까? )
자바스크립트에서 외부 입력을 받아 출력할 때는 Node.js의 모듈로 readline과 fs를 주로 사용합니다. 아래 간단한 개념 정리와 readline모듈을 활용한 예제를 통해 알아봅시다.Node.js로 입력값 출력 방법 두가지1. fs 모듈fs(File System) 모듈은 Node.js에서 파일 시스템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기본 모듈입니다. 동기적혹은 비동기적 방식으로 파일을 읽거나 쓸 때 사용됩니다.특징동기적/비동기적 파일 I/O: fs.readFileSync()와 fs.readFile() 등을 사용해 파일을 읽을 수 있습니다.온라인 저지 환경에 적합: 코딩 테스트나 알고리즘 문제 풀이 시, Node.js 환경에서는 /dev/stdin을 이용해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예제 (동기적 방식)const..
Web Frontend | 2025. 2. 11. 15:21
패키지 매니저 선택 기준 ( npm, yarn, yarn berry 장단점 )
문득 이전 프로젝트를 README들을 정리하다 npm, yarn, yarn berry, pnpm의 차이가 궁금해졌습니다. npm보다 빠른게 yarn이란 건 알겠고, yarn berry가 yarn보다 좋은 거 인건 알겠고... pnpm이 npm보다 용량을 덜 쓰는 패키지 매니저 정도라는 것만 알지 정확한 차이가 알고 싶어져서 이번에 패키지 매니저 선택 기준을 정리해보게 되었습니다.패키지 매니저란?패키지 매니저는 단순히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는 도구가 아닌 프로젝트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패키지 매니저의 역할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명령어로 추가/제거설치 과정에서 의존성 충돌을 감지 및 해결프로젝트 내 패키지의 버전과 의존성 관리프로젝트의 모든 패키지 버전을 lock 파일로 고정의존..
Web Frontend/settings | 2025. 1. 19. 22:36
git 초기 설정 (--global 옵션)
git 공식 문서 홈페이지 참고하여 작성한 게시물입니다. > https://git-scm.com/book/ko1. homebrew로 git 설치homebrew로 git을 먼저 설치합니다. ( homebrew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링크 확인! )brew install git2. git 사용자 설정하기사용자 이름을 설정할 때는 github나 gitlab 사용자 이름이나 별명을 입력해주세요.email도 github나 gitlab에 가입된 이메일을 입력해주세요.$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devchae@gmail.com여기서 --global옵션은 해당 시스템 전역으로 이 정보를 사용하겠다는 옵션이기 때문에..
Web Frontend/settings | 2025. 1. 18. 20:11
homebrew란? 빠르게 알아보자 (homebrew 설치) 🍺
🍺 homebrew 설치 명령어/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Homebrew란?Ruby 기반으로 만들어진 Homebrew는 macOS 사용자에게 필수라고 할 수 있는 패키지 매니저입니다. (Linux에서도 사용 가능)“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라는 슬로건처럼, 시스템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지 않은 유용한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간단한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Node.js, Python, Git 등의 개발 환경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Homebrew는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작하며, 오픈..
Web Frontend/settings | 2025. 1. 17. 2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