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0
[SQL] DECODE로 대체값 넣어서 출력하기
특정 값에 따라 다른 결과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에 DECODE를 함수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성적 점수를 등급으로 변환하거나, 고객의 등급을 VIP/일반/신규로 분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1. DECODE 함수란?IF-ELSE 또는 CASE WHEN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SQL 함수입니다.특정 값이 주어졌을 때 미리 지정한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특정 결과를 반환합니다.CASE WHEN보다 간결한 코드로 표현할 수 있어 빠르게 조건 처리를 할 때 유용합니다.✅ 2. DECODE 함수의 기본 구문DECODE(표현식, 검색값1, 결과값1, 검색값2, 결과값2, ..., 기본값)표현식: 비교할 대상검색값 & 결과값: 표현식과 검색값이 일치하면 결과값을 반환기본값: 어떤 값과도 일치하지 않을 ..
Web Frontend/Database | 2025. 3. 5. 18:44
[SQL] 트랜잭션 이해하기 - ACID 원칙
✅ Transaction(트랜잭션)이란?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실행되는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의미합니다.즉, 여러 개의 SQL 문을 하나의 묶음으로 처리하고, 이를 하나의 작업(트랜잭션)으로 간주합니다. 트랜잭션 문법 BEGIN TRANSACTION; -- 트랜잭션 시작 ( Oracle에서는 자동 )UPDATE 실행 쿼리UPDATE 실행 쿼리COMMIT; -- 트랜잭션 완료 → 저장!✅ 트랜잭션이 필요한 이유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 보장→ 중간에 오류가 나도 완전히 수행되거나(Rollback), 완전히 취소(Commit)되는 것이 중요함.은행 시스템, 주문 시스템, 결제 시스템 등에서 필수→ 예를 들어, 계좌에서 돈을 이체할 때 보내는 쪽에서 차감되었지만 받..
Web Frontend/Database | 2025. 3. 5. 17:35
[SQL] 데이터 정렬하는 법 - ORDER BY절 활용하기
데이터를 정렬할 때는 ORDER BY 절을 활용해 결과를 정렬(Sorting)할 수 있습니다. ORDER BY절을 활용하면 목적에 맞게 정렬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ORDER BY 절이란?SELECT 문의 결과를 특정 컬럼 기준으로 정렬기본 정렬 방식: 오름차순(ASC, 작은 값 → 큰 값 : 타입에 따른 정렬 기준은 따로 정리) 내림차순 정렬: DESC (큰 값 → 작은 값)여러 개의 컬럼을 기준으로 정렬 가능숫자, 문자, 날짜 데이터 정렬 가능✅ ORDER BY 절 사용 문법SELECT 컬럼명FROM 테이블명ORDER BY 컬럼명 [ASC | DESC];ASC → 오름차순 정렬 (기본값, 생략 가능)DESC → 내림차순 정렬여러 개의 컬럼을 정렬할 수도 있음✅ ORDER BY 절 예제1️⃣..
Web Frontend/Database | 2025. 3. 5. 16:48
[SQL] 오름차순(ASC)과 내림차순(DESC) 정렬 순서
가끔 헷갈릴 때 보기 위한 정리 포스팅입니다.✅ 표로 한 눈에 보기데이터 유형 오름차순 (ASC) 내림차순 (DESC)숫자(Number)작은 값 → 큰 값큰 값 → 작은 값문자(String)A → Z (가나다순)Z → A (역순)날짜(Date)과거 → 미래미래 → 과거 1️⃣ 숫자(Number) 데이터 정렬 순서정렬 방식 정렬 순서오름차순 (ASC)가장 작은 숫자 → 가장 큰 숫자내림차순 (DESC)가장 큰 숫자 → 가장 작은 숫자 ✔ 예제 데이터SELECT * FROM 제품 ORDER BY 가격 ASC; 🔹 오름차순 결과가격----100200300400SELECT * FROM 제품 ORDER BY 가격 DESC; 🔹 내림차순 결과가격----4003002001002️⃣ 문자(String) 데이터 정렬..
Web Frontend/Database | 2025. 3. 5. 16:47
[SQL] + 연산자와 집계 함수( SUM, AVG, COUNT, MIN, MAX etc ) 차이점
SQL에서 덧셈 연산자(+)와 집계 함수(SUM(), AVG(), COUNT() 등)는 숫자 데이터를 처리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하지만 연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면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 연산자와 SUM() 함수의 차이SQL에서 덧셈(+) 연산자와 SUM() 함수는 모두 숫자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되지만, 용도가 다릅니다. 연산 역할 NULL 처리 그룹별 계산 가능 여부+개별 행의 값을 더함NULL이 포함되면 결과 NULL❌SUM()여러 행의 값을 합산NULL 무시✅1. + 연산자두 개 이상의 숫자를 단순히 더하는 연산자행(row) 단위 연산이므로 개별 행의 값만 더할 수 있음NULL 값을 만나면 결과가 NULL이 됨 ( 0 + NULL = NULL )SELECT 100..
Web Frontend/Database | 2025. 3. 5. 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