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homebrew로 카카오톡 설치 (feat. BrewFile 사용 방법)

코라채 2025. 1. 25. 21:35
728x90
반응형

homebrew에서 개발관련 패키지만 설치할 수 있는 것이아니라 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설마 앱스토어에 애플리케이션도 다운받아질까하여 homebrew로 카카오톡을 설치하며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homebrew로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종류

homebrew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은 크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homebrew 로 개발관련 패키지 설치 ( node, nvm, git 등등 )
  • homebrew cask로 웹 애플리케이션 설치 ( 크롬 브라우저, 도커, 슬랙, 디스코드 등등) - Homebrew 최신 버전에 내장됨.
  • homebrew mas로 Mac 앱스토어 애플리케이션 설치

만약 homebrew가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 homebrew 설치 방법을 확인하세요.

homebrew 설치 방법 바로가기 homebrew 공식 문서 바로가기

1. homebrew로 mas 설치 및 확인하기

homebrew로 카카오톡 설치전 준비사항

homebrew로 카카오톡을 설치하려면 macOS App Store와 관련된 커맨드라인 유틸리티 mas(Mac App Store)가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합니다.

brew install mas

 

설치 후 만약 MacOS 10.12(Sierra) 이거나 더 오래된 버전일 경우에는 사용하는 AppStore아이디로 로그인을 해야합니다.

$ mas signin mas@example.com MyPassword

 

자세한 mas 사용 방법을 확인하려면 mas 깃허브에서 문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ew list 명령어를 통해 설치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해주세요.

brew list

 

2. mas로 카카오톡 검색하기

mas search kakao를 검색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제일 상단에 kakaoTalk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설치하려는 ID, App이름, App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앱 설치하기

mas로 앱을 설치할 때는 App 아이디가 필요합니다.

brew search로 나에게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알았다면 mas install App-ID 명령어로 설치를 시작합니다.

mas install 869223134

 

4. mas list로 설치된 항목 확인하기

mas list 명령어로 설치된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설치된 앱을 정보가 궁금하다면 mas info App-ID를 통해 제공하는 회사, 최근 업데이트 날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s로 설치된 앱 한번에 업데이트하기

항상 homebrew로 업데이트를 관리하여면 homebrew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줍니다.

brew 업데이트 한김에 brew 명령어로 업데이트 해야하는 목록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homebrew 업데이트
brew update

# 업데이트가 필요한 패키지 목록을 조회
brew outdated
mas outdated

# 업데이트가 필요한 모든 프로그램 업데이트
brew upgrade
mas upgrade

# 개별 업데이트하기
brew upgrade <프로그램 이름>
mas upgrade <앱 ID>

mas로 다운받은 앱 삭제하기

만약 mas로 다운받은 앱을 삭제를 하려면 직접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하여 삭제를 하거나 터미널에서 rm -rf 명령어를 통해 삭제할 수 있습니다.

BrewFile 사용하기

BrewFile이란 하나하나 brew 명령어를 설치할 필요없이 한번에 패키지 매니저나 cask, mas 프로그램들을 설치할 수 있게 도와주는 homebrew에서 제공하는 번들 기능입니다. 팀 개발 환경을 통일하거나 맥을 초기화할 경우 미리 저장해둔 BrewFile을 통해 빠르게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BrewFile 생성하기

직접 BrewFile을 작성해도 되지만 brew bundle dump 명령어를 통해 사용하고 있는 맥에 있는 설정 프로그램들을 나만의 맥북 환경설정 스크립트로 뽑아낼 수 있습니다.

$ brew bundle dump

 

생성된 BrewFile 스크립트 확인

생성된 brewFile을 확인하려면 cat <파일명> 명령어를 통해 스크립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at Brewfile

 

아래는 현재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는 컴퓨터에서 생성된 brewFile 예시입니다.

tap "homebrew/bundle"
brew "git"
brew "mas"
brew "nvm"
cask "google-chrome"
cask "slack"
cask "visual-studio-code"
mas "카카오톡", id: 869223134

 

BrewFile 스크립트로 프로그램 설치하기

다른 맥에서 해당 BrewFile을 실행하면 기존 컴퓨터에 설치되어있던 프로그램들을 그대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미 BrewFile이 있다면 brew bundle 명령어를 통해 BrewFile안의 프로그램들을 설치해주세요.

brew bundle

 

홈브루 번들 기능 관련 도움말이 필요한 경우  brew bundle --help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ewFile은 협업시 개발 환경을 함께 맞출때나 새로운 팀원이 합류하여 새로 개발 환경을 설정할 때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추후 프로젝트에서 BrewFile을 통해 개발환경을 맞추게 된다면 해당 내용으로 추가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글

728x90
반응형